/AI Chasm Catalyst

“코드를 몰라도 됩니다. 상상만 하세요.” 구글이 Google Labs를 통해 공개한 실험 플랫폼 '오팔(Opal)'은 이 슬로건처럼, 단순한 노코드 툴을 넘어 아이디어가 앱이 되는 전 과정을 혁신하는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Opal은 AI를 활용하는 것을 넘어, AI의 '문법’으로 사고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며 앱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말’로 만드는 앱, Opal의 작동 원리]
Opal은 사용자에게 가장 먼저 “Type what you want to build”(당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입력하세요)라고 안내합니다.

사용자가 "오늘 회의 요약하고, 참석자한테 이메일 보내주는 앱 만들어줘"와 같이 자연어로 아이디어를 입력하면, Opal은 이를 AI가 이해할 수 있는 프롬프트의 연쇄(Prompt Chain)로 변환합니다. 이어서 이 프롬프트 체인은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노드(Node) 형태의 워크플로우로 구성됩니다.

사용자는 각 노드를 클릭해 프롬프트를 수정하거나 사용할 AI 모델을 변경하며 앱을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어 > AI 워크플로우 > 실행 가능한 앱’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앱 제작 경험을 제공합니다.

◆[차세대 AI UX, 프롬프트 사슬 설계]
Opal이 기존의 노코드 플랫폼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프롬프트 사슬’을 직접 설계하게 한다는 데 있습니다.

기존 IFTTT나 Zapier가 IF/THEN 조건과 API 연결을 통해 기존 서비스를 연결했다면, Opal은 Gemini, Imagen, AudioLM 등 구글의 다양한 멀티모달 AI 모델을 조립하는 블록처럼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텍스트 생성, 이미지 생성, 음성 변환 등 무한한 조합의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의 녹취를 텍스트로 변환하고(Gemini STT), 내용을 요약하며(Gemini LLM), 관련 이미지를 생성(Imagen)하고 최종 보고서로 만드는 앱을 하나의 체인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혁신의 의의와 한계]
Opal은 ‘질문을 통해 문서를 읽는’ NotebookLM의 개념을 ‘말로 앱을 만드는’ 차원으로 확장시킵니다.

이는 단순히 개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앱 제작이라는 대화’를 다자간 협업 환경으로 바꾸는 구조적 설계입니다.

생성된 앱은 링크만 공유하면 누구나 접근해 사용할 수 있어 개발 지식이 없는 사람도 쉽게 AI 앱을 만들고 공유하는 시대를 열 수 있습니다.

다만 Opal은 아직 초기 실험 단계로, 미국 내에서만 베타 서비스 중이며 보안이나 서비스 수준 계약(SLA)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현재 한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한계에도 불구하고, Copilot을 넘어선 새로운 AI 사용자 경험(UX)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기술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결론]
Opal은 Notion의 데이터 구조화, Zapier의 자동화 연결, Gemini의 AI 처리 능력, n8n의 시각적 워크플로우 설계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융합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Opal이 안정화되고 전 세계에 서비스된다면,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코드 한 줄 없이도 강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현실화하는 ‘아이디어의 민주화’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