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이재명, 8월 중순 'AI 담판' 예고… "성과 내밀고 실리 챙겨야"

백악관과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중순 미국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회담의 최대 현안은 단연 "인공지능(AI) 산업 협력"이 될 것으로 보여,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성과 중심주의'를 넘어설 어떤 해법을 제시할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회담은 지난 8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이 "투자액이나 관세 같은 돈보다 성과가 더 중요하다"며 "미국 공급망의 실용적, 전략적 파트너 역할을 증명하라"고 선언한 직후 잡혔다는 점에서 그 무게가 남다르다. '미국 우선주의'를 노골적으로 천명한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이재명 정부의 첫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빈 약속은 끝났다'…트럼프, AI에 '실리 청구서' 내밀다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한국의 뛰어난 AI 산업 기반을 인정하지만, 그것이 미국의 국익에 어떻게 직접적으로 기여하는지 '결과물'로 보여달라"는 것이다. 그는 "숫자 놀음(number game)은 끝났다"며, 한국 AI 기술이 미국의 핵심 공급망 강화, 기술 발전,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파트너십의 유일한 척도로 삼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이는 단순한 투자 약속이나 기술 협력 MOU(양해각서) 수준의 접근은 통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래서 미국이 얻는 게 무엇인가?(What's in it for America?)"라는 질문을 집요하게 던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청구서'를 '기회'로…이재명식 '맞춤형 AI 동맹' 카드 꺼내나

이에 맞서는 이재명 대통령은 '추상적인 약속'이 아닌 '구체적인 성과'를 제시하는 '실용주의' 전략으로 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실용'을 강조해온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적 접근법을 역이용해 한국의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 관계자와 전문가들의 분석을 종합하면, 이 대통령이 제시할 카드는 다음과 같을 것으로 예측된다.

첫째, '미국 맞춤형 공동 R&D 프로젝트' 제안이다.

미국이 가장 필요로 하는 반도체, 국방, 우주항공, 바이오 분야를 콕 집어, 단순 기술 지원이 아닌 "미국 내 공동 연구소 설립" 및 "성과 공유"를 골자로 하는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방식이다.

이는 '한국이 미국의 기술 패권 강화에 직접 기여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는 전략이다.

둘째, '성과 연동형 인센티브' 역제안이다.

한국 기업이 미국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는 성과를 낼 경우, 관세 인하와 같은 전통적 방식이 아닌 "미국 정부 R&D 자금 우선 배정", "미국 시장 진출 시 규제 신속 심사(Fast Track)" 등 트럼프 행정부가 선호할 만한 '실질적인 당근'을 요구하는 것이다.

셋째, 'AI 기술 표준 및 윤리 공동 리더십' 제안이다.

이는 양국이 AI 기술 규칙의 '제정자(Rule-Setter)'가 되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자는 제안으로, 단순한 파트너를 넘어 'AI 기술 동맹'으로 관계를 격상시키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 외교 전문가는 "이번 회담의 성패는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의 이익'을 얼마나 '미국의 이익'으로 능숙하게 포장해 제시하느냐에 달렸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의 언어'로 한국의 실리를 관철하는 고도의 외교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8월 중순, 플로리다에서 펼쳐질 두 '실용주의' 리더의 담판이 향후 4년간의 한미 관계는 물론, 글로벌 AI 산업의 지형을 뒤바꿀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