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일부 도시에 'AI 로보캅'을 시범 투입하며 자율형 AI 기술의 현실화를 눈앞에 뒀다는 소식은 단순한 해외 기술 동향을 넘어 우리에게 보내는 강력한 경고다. 24시간 자율 순찰과 실시간 위험 감지 능력을 갖춘 로봇 경찰의 등장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이제는 개별 기업의 기술 개발이나 단편적인 정부 지원을 넘어, 대한민국이 자율형 AI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민(民)·관(官)·학(學)·연(硏)이 총결집하는 국가적 협력 생태계 조성을 서둘러야 할 때다.

◆ '중국의 속도'가 아닌 '한국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할 때

중국의 '로보캅' 시범 운영은 단순히 치안 로봇 하나를 도입하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막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바탕으로 데이터 축적, 기술 실증, 상용화까지 단숨에 내달리겠다는 국가적 의지의 표명이다. 우리가 이 속도를 따라가는 '추격자'에 머무른다면, 결국 기술 종속을 피할 수 없다. 이제는 우리만의 방식으로 경쟁의 판을 새로 짜야 한다. 바로 개방과 협력을 통한 혁신 생태계 구축이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와 반도체 기술, 그리고 우수한 인재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이 역량들이 각자의 영역에 갇혀 시너지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간 기업은 상용화에 급급해 원천 기술 확보에 소홀하고, 대학과 연구소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며, 정부의 규제는 때로 혁신의 발목을 잡는다.

◆ 민관학연, 각자의 역할을 넘어 '원팀 코리아'로

자율형 AI 선도국가로의 도약은 어느 한 주체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민관학연이 각자의 칸막이를 허물고 '원팀(One-Team)'으로 움직여야 한다.

"민간 기업(民)"은 과감한 R&D 투자로 AI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선수'로 뛰어야 한다.

"정부(官)"는 기업이 마음껏 뛸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걷어내고, AI 윤리 및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등 '경기 규칙'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또한,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초기 시장을 창출해주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

"대학(學)"은 산업 현장이 요구하는 AI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세대 기술을 연구하는 '인재 양성소'가 되어야 한다.

"연구기관(硏)"은 당장의 상용화가 어렵더라도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AI 원천 기술과 기초 연구에 매진하는 '싱크탱크'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국가적 'AI 컨트롤타워' 설립으로 총력 대응해야

이러한 유기적 협력을 위해서는 이 모든 과정을 총괄하고 조율할 강력한 **국가적 'AI 컨트롤타워'**가 필수적이다. 컨트롤타워는 민관학연의 역량을 한데 모아 국가 AI 전략을 수립하고, 중복 투자를 막으며, 연구개발-실증-사업화가 단절 없이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중국의 '로보캅'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다. 더 이상 주저할 시간이 없다. 정부와 국회, 기업과 학계, 연구 현장이 머리를 맞대고 'AI 코리아'를 위한 청사진을 그리고 즉시 실행에 옮겨야 한다. 기술 개발을 넘어, 혁신이 샘솟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만이 치열한 글로벌 AI 전쟁에서 승리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보장하는 유일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