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중국 선전 지하철 2호선 플랫폼에 펭귄 모양의 자율주행 배달 로봇 41대가 등장하며 도시 물류 시스템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 로봇들은 부동산 대기업 완커(Vanke)의 자회사 VX Logistics와 선전 지하철의 협력으로 운영되며, 세계 최초로 지하철 기반 '미들마일' 소매 배달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는 지하철역 내 100여 개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에 물품을 배송하며 유통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출처 :완커(Vanke)의 자회사 VX Logistics 제공


지하철을 누비는 '펭귄 로봇 군단'

선전은 하루 약 900만 명의 대중교통 이용객을 자랑하며, 지하철 역사 내에는 100개 이상의 소매점이 운영 중이다. 기존에는 배송 인력이 지상에서 물품을 하역한 뒤 카트를 이용해 역 내부로 이동해야 했으나, 이 과정에서 혼잡, 주차 문제, 비효율적인 인건비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펭귄 로봇 도입으로 이러한 병목 현상이 해소되며 배송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세븐일레븐 매장 관리자 리얀얀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사람이 대량 물품을 직접 운반했지만, 로봇 덕분에 훨씬 편리하고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첨단 기술의 집약: AI, LiDAR, 특수 설계

1미터 높이의 이 로봇들은 윤이 나는 돔형 머리와 LED로 구현된 친근한 눈빛을 통해 마치 마스코트와 같은 인상을 준다. 이들은 파노라마 LiDAR 센서, AI 기반 배차 시스템, 그리고 계단, 승강기, 열차 승하차 등 지하철 환경에 최적화된 특수 섀시를 탑재했다. 시스템은 실시간 주문, 매장 위치, 열차 운행 정보 등 수십 가지 변수를 분석하여 최적의 배송 경로를 자율적으로 설정한다.

로봇들은 주로 비혼잡 시간대에 운행하여 승객과의 충돌을 최소화한다. 또한, 모든 운행 데이터는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실시간 수집되어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개선에 활용된다. VX Logistics의 자동화 책임자 후상지에는 "실제 성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로 설정과 서비스가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41대의 로봇만으로도 역내 모든 편의점의 피크타임 배송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평가다.

선전의 스마트시티 비전: 글로벌 표준의 시작

이번 프로젝트는 선전시의 '체화 지능형 로봇 행동 계획'의 핵심 사례로, 2027년까지 서비스 및 산업용 로봇 보급을 확대하려는 시 정부의 목표를 반영한다. 1,600여 개의 로봇 기업이 밀집한 선전은 중국 로봇 자동화의 시험대 역할을 해왔으며, 이번 프로젝트는 선전의 강력한 로봇 산업 생태계를 증명한다.

유럽과 미국의 배달 로봇이 근거리 '라스트마일' 배송에 집중하는 반면, 선전은 대중교통망을 활용한 '미들마일' 자동화를 개척했다. VX Logistics는 향후 여러 점포, 목적지, 이종 운송수단을 연계한 플랫폼 확장 계획을 밝히며, "지하철을 도심 배송의 동맥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글로벌 물류의 새 장: 펭귄 로봇의 미래

선전의 펭귄 로봇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도시 물류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잠재력을 보여준다. 승객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과 사진 촬영 속에서 이 로봇들은 이미 지하철의 명물로 자리 잡았다. AI, 로보틱스, 스마트 인프라가 융합된 이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확장된다면, 전 세계 대도시들이 지하철을 활용한 물류 네트워크를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

프로젝트의 성공은 지속적인 데이터 기반 최적화와 시민 수용도에 달려 있다. VX Logistics가 로봇과 알고리즘을 꾸준히 개선해 나간다면, 선전의 '스마트시티 물류 실험'은 세계 도시 정책과 자동화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