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Chasm Catalyst


중국 리창 국무원 총리가 7월 26일 상하이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인공지능대회(WAIC) 개막식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소수 국가와 기업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리 총리는 중국이 세계 AI 기술 보급과 협력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선언했다.

AI기술 독점 우려와 평등 발전 권리 강조
리 총리는 “현재 AI 핵심 자원과 기술 역량이 소수 국가와 기업에 집중되어 있다”며 “기술 독점과 통제, 봉쇄가 지속된다면 AI는 일부 국가와 기업만의 게임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각국과 기업, 집단이 AI를 평등하게 발전시키고 이용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사우스 지원과 중국의 역할
리 총리는 중국이 추진하는 ‘AI 플러스 전략’을 언급하며 “중국은 독창적 성과가 연이어 나오고 있으며 기술 수준과 시장 규모도 계속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이러한 발전 경험과 기술을 세계 각국에 공유할 용의가 있으며, 특히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의 AI 역량 배양을 돕겠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첨단 기술 통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독점의 미국’과 ‘포용의 중국’을 대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기술 협력과 오픈소스 추진
리 총리는 현재 AI 발전이 컴퓨팅 칩 공급 부족, 언어 자료 고갈, 인재 및 기업 간 협력 제한 등 여러 제약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각국은 첨단 이론과 기초 과학, 기술 연구 협력을 강화하여 AI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충분한 혁신 자원과 활력을 바탕으로 오픈소스 발전을 적극 추동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의 난관 극복과 개방 강도를 높여 AI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AI 거버넌스와 세계AI협력기구 제안
리 총리는 “현 글로벌 AI 거버넌스는 제도와 철학 차이가 커서 단일한 통합체계가 부족하다”면서 “조속히 폭넓은 공감대에 기반한 글로벌 거버넌스 프레임과 규칙을 만들어야 하며, 중국도 다자 협력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3년 ‘글로벌 AI 거버넌스 이니셔티브’와 2024년 ‘AI 역량 건설 보급 계획’을 소개하며, 이번 대회를 맞아 중국 정부가 ‘세계AI협력기구’ 설립을 제안한다고 발표했다.

리 총리는 “중국의 방안을 국제사회에 더 많이 제공하고 세계 AI 거버넌스에 중국의 지혜를 더 많이 공헌하겠다”고 말했다.


세계인공지능대회 개최 현황
이번 WAIC는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AI 시대의 글로벌 연대’를 주제로 개최된다.

화웨이, 바이두 등 중국 주요 테크 기업들과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해 약 7만 평방미터 규모 전시장에 3천여 종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대형 언어 모델 40종, AI 단말 50여 개, 휴머노이드 로봇 60여 종 등이 전시된다. 주최 측은 이번 대회에 ‘글로벌 최초’ 혹은 ‘중국 최초’ 타이틀을 단 제품도 100여 종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요약하면, 리창 총리는 인공지능 기술의 독점과 통제에 반대하며 중국이 전 세계 AI 보급과 협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미국과 대비되는 ‘통제의 미국’과 ‘개방의 중국’이라는 대조적 이미지를 통해 중국의 역할 확대를 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글로벌 AI 협력과 거버넌스 구축에 적극 참여하고 세계AI협력기구 설립을 제안하는 등 국제 협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