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Chasm Catalyst
서울 마포구가 미술문화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마포 미술협회(회장 이광희)는 지역 예술인들의 창작 기반을 다지고 대중과의 접점을 확장하며, 현재 전국 지자체 미술단체 중 가장 활발하고 독창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중심에는 마포구 출신의 예술가이자 교육자, 기획자, 그리고 현장형 리더인 이광희 회장이 있다.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그는 홍대 앞에서 입시미술학원 ‘CNC 미술학원’을 오랜 시간 운영하며 수많은 청년 예술가를 양성해왔다. 현재는 마포 미술협회 회장으로서, 단체의 조직 기반부터 예술인의 성장 플랫폼 구축까지 전방위적인 예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예술은 혼자가 아닌 함께 가는 길입니다.”
이광희 회장은 예술을 개인의 세계에 머무르게 하지 않는다. 그는 예술이 지역 사회와 연결되고, 작가와 시민이 함께 호흡하며, 시대와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포 미술협회는 레드로드 거리 전시, 마포구청 로비 전시, 주민참여형 프로젝트 전시 등 다채로운 활동을 통해 예술을 지역의 삶 속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예술가들에게는 창작 기회를, 시민에게는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마포만의 고유한 미술 문화 풍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마포는 예술가 밀집도와 창작 에너지가 높은 도시다. 홍대, 연남동, 상수동 등 예술감성이 살아 숨 쉬는 공간들이 밀집해 있고, 이곳을 기반으로 한 작가들이 국내외 무대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과거 지하 작업실에서 그려지던 그림들, 거리에서 울려 퍼지던 예술가의 숨결이 다시 이 지역에서 되살아나고 있다.
이광희 회장은 이러한 지역 자원과 젊은 작가들의 잠재력을 결합해, 마포를 단순한 전시공간을 넘어 ‘대한민국 미술 창작의 중심지’로 키우고 있다. 마포 미술협회는 예술가 개인의 성장을 넘어, 예술이 도시의 정체성이 되고 지역 경제를 이끄는 문화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전개 중이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마포 미술협회가 단순한 예술단체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곳은 신진 작가들에게는 도약의 기회를, 중견 작가들에게는 교류의 장을, 지역 주민들에게는 예술의 일상을 제공하는 창작과 참여의 플랫폼이다. 이광희 회장은 이 플랫폼을 통해 “마포에서 시작된 예술이 한국을 넘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길을 열고 있다.
결국 마포 미술협회는 지금 이 순간, 한국 현대미술의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늘 현장에서 발로 뛰며, 직접 예술의 기획에 깊이 관여하고 예술가의 손을 든든하게 잡아주는 이광희 회장이 있다. 그는 단순히 후원자가 아니라, 예술가들과 함께 호흡하며 창작의 현장을 이끄는 진정한 아트 리더다. 그의 뜨거운 열정과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 그리고 한국 미술에 대한 무한한 애정은, 한국 미술사에 새로운 장르와 혁신적인 물결을 일으킬 것이라는 확신을 주고 있다.
이미 마포에서 시작된 이 창조의 불꽃은 머지않아 한국 현대미술의 지도를 새로 그릴 것이며, 역사의 한 페이지를 다시 쓰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광희 회장의 노력이 만들어갈 미래는, 단순한 변화가 아닌 진정한 ‘미술 혁명’의 서막이다.
정리·취재 | 이길환 메이커스저널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