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Chasm Catalyst
이재명 대통령이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종료된 직후, 언론과 시민사회, 정치권, 국민 여론을 폭넓게 반영해 이르면 이번 주말 최종 임명 결정을 내릴 전망이다. 실력과 도덕성, 국민 통합까지 아우르는 이 대통령의 선택이 주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실은 새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 17명에 대한 릴레이 인사청문회를 마무리한 직후인 이번 주말을 ‘종합 보고’ 시점으로 설정하며, 각 후보자의 최종 임명 여부를 검토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인사권자로서 모든 청문회가 끝날 때까지 주의 깊게 지켜볼 수밖에 없다”며 일부 후보자에 대한 선별적 결정이 사전에 내려진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각, 야권에서는 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자진사퇴 또는 임명철회 요구가 거세다. 특히 강선우(여성가족부), 이진숙(교육부) 후보자와 관련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나, 대통령실은 “섣부른 예측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며 두 후보자의 거취 역시 이번 주말 최종 결정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자의 전문성 및 실력, 기존 의혹 해명 수준, 언론 보도와 시민사회·정치권 의견, 그리고 국민 일반의 여론 등 다양한 요인을 최종적으로 종합해 임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여권 내에서 제기된 임명 불가론에 대해서도 “개인 의견에 불과하며,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대통령의 의중과 국정 철학”이라고 못박았다.
특히 이번 내각 구성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여당 중진 의원 등 검증된 인사를 대거 기용했으며, 이 과정에서 실용적이고 통합 지향적 인선 원칙을 중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통령실은 “정책 검증보다 정치적 공방에 치우치는 인사청문회 관행은 개선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직무와 도덕성 검증이 분리된 새로운 제도 도입도 언급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최종 선택이 국민 여론과 정부 운영의 안정을 동시에 고려한 균형 잡힌 결정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대통령실은 “중요한 것은 대통령의 의중”이라 강조하며, 당내외 개인 의견이나 일부 여론 동향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국민 통합과 국정 운영의 안정성에 방점을 두겠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런 결정 방법은 실제 정책 주요 사안이나 당내 쟁점 사안에 대해서도 나타났는데, 다양한 의견을 종합한 후 깊은 고민 끝에 ‘국민 중심’의 결정을 해왔다는 평가가 반복적으로 나오고 있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및 국정 주요 결정의 기준은
국민 여론과 민심,
사안의 명분과 실리,
사회 통합 및 정치적 수용성,
대통령 본인의 소신과 국정 철학
등을 모두 종합한 결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