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Chasm Catalyst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기후 변화와 AI 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장거리 송전 중심 전력망에서 벗어나 AI를 활용한 분산형 전력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특히 '에너지 고속도로’가 서울 중심의 수도권 일극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국을 촘촘히 연결하는 첨단 인프라임을 강력히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이 필연적으로 늘어나는 만큼, 전력망 인프라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현재 전력망의 장거리 송전 비효율성 문제를 지적하며, 관계 부처에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안을 모색하라"고 주문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우리나라 전력 지형의 특성을 고려해 장거리 송전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한 전력망을 구축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라며, "AI 혁명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전력망 개선을 통한 재생에너지 공급은 매우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지역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할 것을 당부했다.
◆“에너지 고속도로, 서울 가는 길이 아니다”…‘수도권 일극주의’ 오해 해명
이 대통령은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에 대한 일부의 오해를 해명했다. 그는 "전국의 전력망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을 속도 내야 한다"고 말한 뒤, "에너지 고속도로란 서울로 가는 뻥 뚫린 길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첨단 전력망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럼에도 '수도권 일극주의’로 불리는 불균형 성장 전략이라는 오해가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며 "요즘엔 고속도로가 꼭 서울로 가지는 않는다. 이러한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시각 “분산형 전력망, 안정성 및 효율성 동시에 달성할 핵심 전략”
전력망의 패러다임 전환은 단순히 인프라를 바꾸는 것을 넘어 에너지 안보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 중대한 과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분산형 전력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에너지 전문가 A씨는 "기존의 원자력화력발전소 중심의 대규모 발전과 장거리 송전 방식은 재생에너지의 특성상 한계가 명확하다"며 "태양광, 풍력 발전은 지역별로 생산량이 불균일하고, 날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분산형 전력망은 지역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그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하여 송전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체망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즉, 전력을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공급하는 ‘상향식’ 구조에서 지역 간 전력을 상호 보완하는 ‘수평적’ 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독일 덴마크 등 유럽 선진국들은 이미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고 있는 성공 사례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지역 단위의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고, 스마트 미터와 같은 IoT 기술을 통해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효율적인 전력 운영을 하고 있다.
◆정부,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육성…구체적 로드맵 제시
이러한 정부의 방향성에 맞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밝혔다.
김 실장은 "전력을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소규모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송전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분산 에너지 전력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풍부한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육성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전남도는 태양광과 풍력에너지 개발이 활발한 지역으로, 분산형 전력망 구축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정부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첨단 전력망 기술을 집중적으로 적용하고 성공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은 재생에너지 시대에 맞춘 전력망의 근본적인 구조 개혁을 시도하려는 의지로 읽힌다. 앞으로 AI와 분산형 전력망 기술이 어떻게 국가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꿀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