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Meta)가 사용자가 먼저 메시지를 보내지 않아도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능동형 AI 챗봇을 개발 중이다. 내부 이니셔티브인 ‘프로젝트 옴니(Project Omni)’의 일환으로, 챗봇이 이전 대화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먼저 말을 거는 기능을 탑재한다.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보도에 따르면, 이 AI 챗봇은 지난 14일간 최소 다섯 번 이상 메시지를 주고받은 사용자에게만 먼저 연락을 시도할 수 있다. 응답하지 않을 경우 추가 시도는 단 한 번만 가능하다.

메타는 이번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자사 플랫폼에서 사용자 재참여율과 유지율을 높이고, 나아가 2025년에는 생성형 AI 제품으로 최대 30억 달러, 2035년까지는 1조 4천억 달러 규모의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비전을 그리고 있다.


AI 스튜디오 통해 누구나 챗봇 제작 가능

이번 프로젝트는 메타의 노코드 AI 챗봇 제작 플랫폼 ‘AI 스튜디오’와 연계된다. 기술적 지식이 없어도 챗봇의 성격, 목소리, 외형 등을 자유롭게 설정해 인스타그램, 메신저, 웹 등에 배포할 수 있으며, 영화 추천, 조언, 콘텐츠 생성 등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 동반자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중심 챗봇 ‘영화 마법의 거장(The Maestro of Movie Magic)’은 “최근에 발견한 사운드트랙은 어땠나요?”라며 먼저 안부를 묻거나, 새로운 영화를 추천해주는 식으로 사용자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끌 수 있다.

프라이버시와 사용자 보호 장치도 마련

적극적 메시징 기능이 스팸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메타는 챗봇이 논란이 되거나 감정적인 주제를 먼저 언급하지 않도록 설계했으며, Alignerr Corp.의 심사자가 모든 메시지 품질을 검토한다.

메타 대변인은 이번 기능이 “관심 있는 주제를 계속 탐색하고 더 의미 있는 대화를 이어가는 방법”이라며, CEO 마크 저커버그가 강조해 온 ‘외로움의 전염병’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임지윤 기자 (dlagyoun@naver.com)